본문 바로가기
사회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 '일본 오염수 방류 인체 영향 없다'

by ☜▥′☠ʚဝိူɞ✸ℭ 2023. 6. 20.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 '일본 오염수 방류 인체 영향 없다'

2023년 6월 20일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미치 양자공학과 교수가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 강연에서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관해 '오염수가 방류되고 100년이 지나도 인체에 영향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오염수 방류가 돼도 문제가 없는 이유

정용훈 교수는 '후쿠시마에서 수킬로미터만 가면 희석되고 1L에 1Bq(베크럴)의 삼중수소가 나온다'라고 하며 한강물을 떠봐도 1L에 1Bq(베크럴), 서울 시민 소변에서도 그 정도 양의 삼중수소가 나온다고 설명하였다. 

 

정 교수는 또 '중국에서 연간 방류하는 삼중수소 농도가 후쿠시마 오염수의 50배에 달하지만 이로 인한 영향이 사실 없다. 모든 영향이 나타나기에는 총량을 따져보면 미미하다'라고 했다. 

 

소금 품귀 현상에 대해

정교수는 삼중수소는 물이며 물이 증발할 때 같이 증발하기 때문에 소금에 남아있지 않다고 하며 소금 품귀현상을 일축하였다. 또한 삼중수소가 농축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유기물이었던 삼중수소를 먹은 방어에게서 바다의 삼중수소 농도보다 높게 나타났다'라고 예시를 들며 물형태의 삼중수소는 농축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청정 식단을 통한 음식 방사선 피폭량이 연간 500 마이크로시버트"라며 "후쿠시마 생선만 1년 내내 먹었다고 가정한 피폭량은 1 마이크로시버트의 100분의 1 수준"이라고 했다.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재개

정교수는 오염수 방류가 후쿠시마산 수입물 재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도 강조했다. 오염수 방류 인해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문제로 WTO에 제소당했을  때 후쿠시마 산 수산물의 위험성을 입증할 수 없어서 우리나라가 1심에서 패소했지만 2심에는 '위험성'을 언급하지 않아 이겼다고 정교수가 설명했다. '사고가 난 바다와 우리 바다가 다르기 때문에 검역도 달라야 한다는 논리였는데 방류로 인하여 이런 논리는 더욱 강화된다고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