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발사 예고 누리호 '위성' 싣고 나간다
누리호가 2023년 5월 24일 3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 현재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의 발사대에 기립하여 고정작업을 마친 상태이다. 누리호는 우리나라에서 만든 발사체로 이번 위성을 쏘아 올리는 발사가 성공할 경우 한국 내 우주 산업이 본격화하는 계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1차, 2차와 다른 3차 누리호 발사
3차 누리호 발사는 실용 위성을 발사체에 싣고 가는 점에서 과거 1차, 2차와 차별화된다. 1차와 2차 발사 때에는 성능검증위성과 위성 모형을 싣고 갔지만 이번 발사부터는 임무수행을 하는 실용 위성이 실린다. 실용위성에는 카이스트(KAIST)에서 개발한 차세대 소형 위성 2호, 한국천문연구원의 도요샛 4기와 루미르, 져스텍, 카이로스페이스에서 각각 준비한 큐브 위성(부탑재위성) 등 총 8기가 들어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고정환 한국형 발사체고도화사업단장은 '2차 발사는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었다면 3차 발사는 누리호가 위성수송이 가능한 발사체라는 것이 검증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3차 누리호 발사 시간과 비행시간
3차 누리호 발사는 실용 위성이 실리기 때문에 2차 발사가 오후 4시에 이루어진 것과 달리 두 시간가량 발사 시간이 늦춰져 오후 6시 24분 전후 30분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시간에 발사해야 3차 누리호에 실리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목표 궤도에 이를 수 있다.
만약 우주 물체와 충동 가능성이 생기거나 날씨 등 조건이 맞지 않으면 발사가 연기된다. 5월 24일 발사를 하지 못하면 25~31일 중으로 발사일을 정할 예정이다. 문제가 없다면 오후 1시 30분쯤 발사관리위원회에서 구체적인 발사 시간을 확정할 계획이다.
총 8기의 위성이 실려있기 때문에 누리호는 8번의 분리가 차례로 진행되면서 총 비행시간은 2차 발사보다 33초 늘어난 18분 58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먼저 발사 13분 3초 후에 분리되고 그 후 20초마다 7기의 부탑재위성이 분리된다.
첫 교신까지
발사체의 성공여부는 발사 약 15분 후 8기의 위성이 모두 분리되는 시점부터 알 수 있다. 위성이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했는지 성공 여부는 5월 25일 오전까지 교신을 기다려야 한다. 고정환 사업단장은 위성이 목표 궤도에서 정확히 분리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향후 4~6차 발사에도 참고할 수 있다고 전했다.
누리호 발사 광경 참관 여부
보안 관계로 나로우주센터에서는 볼 수 없다. 발사대를 중심으로 현재 반경 3km를 통제하고 있으며 발사 장면을 보려면 인근 해수욕장이나 전망대를 찾는 것이 좋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나, 테라' 권도형 보석 취소/ 전직 보디빌더 무차별 폭행 녹취록 (0) | 2023.05.25 |
---|---|
숙명여대 '화장실 살인 예고' 경찰 대응 논란/ 13년 전 성폭행 가해자가 현재 초등학교 교사? (0) | 2023.05.24 |
DL 이앤씨, 남해-여수 해저터널 2023년 내 착공 (0) | 2023.05.24 |
로또 1등 당첨에도 세금 체납.. 국세청 체납자 조사 (0) | 2023.05.24 |
채점 전 답안지 파쇄 한 한국산업인력공단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