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페이" 2023년 3월 21일 한국 상륙
현대카드와 애플은 2023년 3월 21일 애플 페이가 공식적으로 출시되어 서울 이태원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에서 출시 행사를 열었따.
애플 페이 가능한 카드
현대카드를 쓰는 애플 페이를 사용할 수 있다. 현대 카드 종류 중 마스터카드, 비자카드는 이외에 국내 전용카드도 해당이 된다. 현대카드라고 하더라도 아멕스 제휴카드는 지원이 되지 않는다.
애플페이 사용법
애플페이는 측면의 홈버튼을 두번 두르고 애플의 아이폰이나 애플 워치를 '근거리 무선 통신(NFC)'에 가까이 대면 결제가 된다. 결제는 사용자의 얼굴인식,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를 통해 인증된다. 애플은 애플 페이가 철저하게 개인정보를 보안하는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애플 페이 사용처
CU, GS25 편의점과 폴 바셋, 투썸플레이스 같은 카페, 롯데백화점, 코스트코, 홈플러스, 배달의 민족, 무신사, 롯데시네마 등 여러군데에서 사용가능하고 새로운 카드 사용처가 계속 늘어나는 중이라고 관계자가 설명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해외 가맹점에서도 쓸 수 있다. 제니퍼 베일리 애플페이 및 애플 월렛 담당 부사장은 '드디어 한국에 비접촉식 결제방식인 애플 페이를 소개하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애플의 제품이라면 애플 페이 가능
애플 페이의 온, 오프라인 결제는 아이폰, 애플와치, 맥북과 아이패드를 통해 가능하고 현대카드가 있어야 한다.
애플페이가 안되는 곳
현재 신세계 백화점, 스타벅스, 이마트 등의 신세계그룹 매장은 NFC 단말기가 설치되어있지만 자사의 '쓱(SSG)페이'를 키우기 위해 애플페이는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대중교통도 사용할 수 없다. 아직 애플 페이는 티머니, 캐시비와 같은 교통카드업체와 별도로 제휴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부 애플 페이 사용자들은 '사용 가능 매장을 찾아보며 다녀야 하는 수고가 있다'며 번거로움을 토로했다.
3월 21일 오전에 17만명이 애플페이 등록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에 따르면 3월 21일 오전에만 21만명이 등록을 하였고 계속적으로 더 많이 등록할 것이라고 했다.
"애플 페이" 2023년 3월부터 서비스 가능 ... 출시 임박
2023년 2월 3일 금융위원회에서 애플 페이를 도입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려 국내에서의 애플 페이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업계에서는 현대카드에서 애플페이 서비스를 출시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애플 페이가 도입될 수 있는 이유
금융위원회는 2023년 2월 3일 "여심금융업법과 전자금융거래법 등 관련 법령과 그간의 법령 해석 등을 고려하면 국내 신용카드사들이 애플 페이 서비스를 도입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신용카드사는 관련 법령 준수와 함께 애플페이와 관련한 수수료 등 비용을 고객 또는 가맹점에 부담하게 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하며 "고객의 개인정보 도난, 유출 등으로 야기된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는 등 소비자보호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부연 설명을 하였다. 또한 애플 페이의 도입으로 사용자들의 편의성이 제고되고 근접무선통신(NF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결제 서비스의 개발, 도입이 촉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애플 페이 준비 중인 현대카드
카드업계에서는 애플 페이의 국내 서비스 출시는 준비가 많이 되어있고 애플이 결정만 하면 시작할 수 있을 정도라고 설명하면서 빠르면 3월 즈음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현대카드는 미국 애플사와 계약을 맺고 현재 애플 페이의 국내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나 현재 애플코리아와 현대 카드 측에서는 확인해 줄 사항이 없다는 입장이다.
애플 페이로 인한 국내 간편 결제 서비스와 핸드폰 시장의 영향?
1. 큰 영향을 미친다는 관측
애플 페이가 도입될 수 있게 됨에 따라 국내 시장에 많은 영향을 미칠지 아니면 영향이 미미할지 관심이 생기고 있다. 현재 국내 오프라인 간편 결제 시장에서는 삼성페이가 독주하고 있으며 그 뒤로 신한플레이가 잇따르고 있다. 국내에 애플 페이가 들어옴에 따라 국내의 다른 결제 시스템을 누르고 시장의 또 다른 강자로 우뚝 설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애플페이가 한국에 도입되면서 다른 해외의 간편 결제서비스가 들어올 수도 있다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그리고 애플 페이로 인해 많은 소비자들이 애플의 아이폰으로 바꿀 가능성이 있다. 현재 아이폰은 페이 기능이 없어서 삼성페이가 있는 삼성 갤럭시 폰을 썼던 젊은 층들이 애플 페이가 출시된다면 아이폰으로 갈아탈 것이다.
2. 미미한 영향만 있을 것이라는 관측
애플 페이를 쓰려면 근거리무선통신(NFC) 단말기가 필요한데 현재 국내의 NFC 단말기 보급이 10% 정도라 출시 직후 영향력이 미미할 거라는 관이 있다. 한국 대부분의 가맹점에서는 삼성페이가 쓰는 보안방식인 마그네틱보안전송(MST) 방식의 단말기를 쓰고 있다.
게다가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결제 수단이 있는 상황에서 애플페이 도입 스마트폰 바꾸기 위한 동기 부여가 되기는 어렵다. 현대카드를 발급받으면서까지 애플페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예상했다. 일본에서는 현금결제 비중이 크고 라인페이 같은 기존의 결제방식이 입지를 넓혔고 중국에서는 QR코드를 사용하거나 알리페이나 위챗페이의 점유율이 이미 높아 애플 페이가 도입되어도 그 비중이 높지 않았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SM 2대 주주로 올라.. 이수만 '법적 대응' (0) | 2023.02.08 |
---|---|
국내 증권사의 미국 투자 ETF 종류 정리 (0) | 2023.02.08 |
최적의 생산점은 어디인가? (0) | 2023.02.03 |
멜더스의 우울한 유령(?) : 노동과 자본 투입에 따른 생산량 (0) | 2023.02.02 |
합리적인 소비자가 되는 길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