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미국 투자를 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고 미국 경제도 계속 성장하는 모습이어서 ETF를 투자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미국 주식... 아는 게 없다. 하지만 직접 투자하기에는 부담스럽다. 미국 ETF... 아는 게 없다. 그래도 간접투자는 해볼 만한 듯하다. 간편하게 오늘은 미국 ETF 종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국내 증권사의 미국 투자 ETF에 대해 알아보자.
ETF를 알아보기 전에 알아야 할 용어
ETF 상품은 아래 지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품이 출시되기 때문에 용어를 알아야 한다.
- S&P 500 : 미국을 대표하는 우량 주식 500개를 기준으로 한 지수
- 나스닥(NASDAQ) : 벤처기업 같은 기술 성장주를 중심으로 만든 지수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구글, 애플 등이 대표적이다. - 다우존스(Dowjones) : 우량주 중에서도 최우량주 30 종목의 회사로 한정하여 만든 지수
국내 증권사의 미국 관련 ETF
1. S&P 500 지수 ETF
S&P 500 지수에 투자하는 것은 미국 주식 전반에 투자하는 것과 비슷하다. 한국 증권사에서도 미국 S&P 500에 투자할 수 있는 여러 ETF가 있다.
- Tiger 미국 S&P 500
- Tiger 미국 S&P 500 선물(H)
- Kodex 미국 S&P 500 TR
- Kodex 미국 S&P 500 선물 (H)
- Kindex 미국 S&P 500
- KBSTAR 미국 S&P 500
- Arirang 미국 S&P 500(H)
펀드 뒤에 (H)가 붙는 것은 ETF에 환 헷지를 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수수료가 비싼 편이다. (TR)은 토털 리턴(Total Return)으로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것이다.
2. 나스닥 ETF
FAAG와 테슬라 등과 같은 다양한 혁신 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
- Tiger 미국 나스닥 100
- Kindex 미국 나스닥 100
- KBSTAR 미국 나스닥 100
- Kodex 미국 나스닥 100 (H)
3. 다우지수 ETF
다우존스 지수를 추종하는 ETF이지만 S&P 500과 나스닥 ETF보다는 인기가 많이 없다고 한다.
- Tiger 미국 다우존스 30
국내 상장 ETF보다 미국 다우지수 ETF인 DIA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하는 사람들도 있다.
주의해야 할 점
매매 차익 및 배당금에 15.4%의 배당 소득세가 부과된다.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이 넘을 경우, 금융소득 종합 과세금이 붙는다.
다음에는 이들 ETF 상품의 규모와 거래개시일, 수수료와 수익률을 알아보려고 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증권사의 미국 투자 ETF 수익률을 알아보자(미래, 삼성, KB 등) (0) | 2023.02.09 |
---|---|
카카오, SM 2대 주주로 올라.. 이수만 '법적 대응' (0) | 2023.02.08 |
"애플 페이" 2023년 3월 21일 한국 공식 출시 (0) | 2023.02.03 |
최적의 생산점은 어디인가? (0) | 2023.02.03 |
멜더스의 우울한 유령(?) : 노동과 자본 투입에 따른 생산량 (0) | 2023.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