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85

가격 탄력성과 한국 제품, 미국인들은 왜 비싸도 일본 차를 샀을까? 지난번에 가격 탄력성에 대해 포스팅한 적이 있었다. 가격 탄력성이 높으면, 가격이 상승할수록 수요가 줄어들고, 가격 탄력성이 낮으면 가격이 상승해도 소비가 줄어들지 않는다. 가격 탄력성이 낮으면 가격이 상승해도 소비가 줄어들지 않는다. 가격 탄력성이 낮은 제품들은 농산물이나 생필품 등이 있다. 오늘은 오래전의 일을 상기하면서 미국인들이 왜 일본차를 비싸도 샀는지 가격 탄력성과 연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플라자 합의(Plaza Accord)의 실패? 서방 선진국들의 엔고합의 1980년대 일본땅을 팔면 미국을 살 수 있다고 할 정도로 일본이 잘 나갔던 때가 있었다. 그때 서양의 G5 선진국들은 일본에 대한 무역적자가 계속되어 일본 엔화를 평가 절상하여 가치를 올릴 필요성을 느꼈다. 엔고(일본 엔화의 가치가 .. 2023. 1. 30.
달러 ETF 종류와 수익률 비교 요새 중국발 전력부족 및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미국 테이퍼링, 중국 기업들의 디폴트 우려 등등 달러 강세에 따라 안전자산인 달러 투자에 대해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여러 신문과 기사를 알아보니 당분간 원/달러 환율은 1,170~1,200원대의 높은 레벨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한다. 먼저 달러 ETF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달러 ETF의 종류 일반 달러 ETF : 일반 달러 선물지수에 따라 변동되는 ETF이다. 대부분 상승을 바라고 투자하는 형식이다. 인버스 ETF(Inverse ETF) : 앞으로 달러 환율이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투자하는 ETF이다. 레버리지 ETF(Leverage ETF) : 환율 상승의 2배만큼 올라가는 ETF이다. 인버스 ETF 2X : 환율 하락의 2배만큼 이익을 내는 ETF.. 2023. 1. 27.
달러 RP의 종류와 증권사별 수익 비교(NH, KB, 신한, 한국, 메리츠 등) 지난번에 달러를 투자하는 방법에 대한 5가지를 포스팅했었다. 달러(Dollar)에 투자할 수 있는 5가지 방법 오늘은 운동을 갔다 오고 나서 하루 종일 달러를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어떻게 달러를 투자할 수 있을까? 기축통화인 달러를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외화예금 smtr.tistory.com 그 중 오늘은 달러 투자 방법 중 달러 RP의 종류와 증권사별 수익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달러 RP는 수시형 RP와 약정형 RP가 있다. RP의 종류 수시형 RP 수시형 RP는 보유기간이 1일 이상이 되면 언제든지 매도하더라도 약정된 수익률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24시간 매도가 가능하다. 약정형 RP 약정형RP는 보유기간이 7~365일 만기 보유시 약정 수익률을 지급하는 상품.. 2023. 1. 26.
수요(Demand)와 공급(Supply)의 법칙 - 명품에 세금이 많이 붙는 이유 경제는 수요와 공급으로 시작해서 수요, 공급으로 끝난다. 예전에 경제학 원론을 배운 적이 있었다. 그때 모든 일을 결정할 때 경제학이 기초가 되기 때문에 사회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지식을 기를 수 있는 토대가 경제학이라고 책에서 보았다. 지금도 생각해 보면 경제는 기본적인 원리로 돌아가고 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 - 경제의 진리 가격만 생각했을 때 수요와 공급의 법칙은 정말 기본적이다. 수요와 공급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가격이 낮으면 수요가 많아진다. -> 가격이 낮으면 생산자는 공급을 줄인다. 가격이 높으면 수요가 적어진다. -> 가격이 높으면 생산자는 공급을 줄인다. 하지만 가격 이외의 조건이 들어갈 때 수요와 공급의 조건은 어떻게 될까? 예를 들어 유행, 심리적 경쟁 심리 등등. 수요와.. 2023. 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