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항상 한정된 예산으로 살아간다. 어떻게 하면 우리는 이 예산을 가지고 최대의 만족을 느낄 수 있을까? 경제학에서 보는 관점으로 합리적인 소비자가 되는 길을 알아보자.
저렴한 물건을 많이 사는 것이 남을 돕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어떤 특정한 물건을 Q*의 양만큼 P*의 가격에 산다. 만약 사는 양이 Q*보다 작았다면 사람들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했을 것이다. 하지만 전체 소비자가 Q*만큼 사서 P*라는 저렴한 가격을 지불했기 때문에 이보다 더 적은 양으로 샀을 때의 높은 가격보다 더 이익을 보게 된다.
그래서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가격을 조정하는 평범한 사람들이 남을 돕는 사람들이다.
최대의 만족도를 느낄 수 있는 방향으로 소비를 한다.
예를 들어 귤과 키위를 산다고 하자. 2만 원의 용돈으로 이 과일들을 살 수 있다. 같은 값에 키위보다 귤이 더 맛있다고 느끼면 귤을 많이 사고 키위는 살 양을 줄일 것이다. 왜냐하면 이렇게 하는 것이 나에게 더 만족이 되는 방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귤을 많이 사면 점점 그 양이 늘어나 주관적인 만족도나 필요도는 낮아지게 된다. 귤 100개 산 사람과 키위 100개 가진 사람이 있을 때 이때 100번째 귤과 키위의 만족도는 작다. 이때 서로 귤과 키위를 교환한다면 만족도를 다시 높일 수 있다. 이런 만족도에 대한 경제학 용어로 한계효용균등의 법칙이라고 한다.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상대적으로 내가 귤과 키위를 3개 가지고 있는 것이 2개 가지고 있는 것보다 좋다고 따지는 것보다 뭐든지 둘 다 많으면 좋다는 것이다. (경제학에서는 뭐든지 차별하지 않고 만족도(효용)가 같은 점을 연결하여 무차별(차별이 없음) 곡선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자신의 예산범위에서 최대한 만족을 줄 수 있는 균형점을 찾는다.
돈이 많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쓸 수 있는 돈이 많지 않다. 그래서 자신의 예산선 안에서 가장 높은 만족을 줄 수 있는 균형 조건을 찾는다.
개인을 넘어서 사회적으로 만족을 극대화하려면?
이제까지는 개인 한 명이 자신의 만족을 최대화시키기 위해 합리적인 행동을 했다면 사회적으로 합리성을 어떻게 맞추어야 할까?
민주주의는 다수결의 법칙으로 이루어졌다.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이 피할 수 없는 조건이다. 하지만 이런 민주주의에서의 소수의 희생은 경제적으로 봤을 때 사회적 최대 만족(효용)을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잘못된 결정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도시를 재정비하기 위해 무허가촌을 철거하면 경제의 발전도 이루어지고 이익이 생기겠지만 철거민들의 고통은 매우 클 것이다. 이때 철거 이후의 철거민들을 보상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고 철거가 진행된다면 최적의 만족(효용)을 추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효용을 생각하면 경제의 정의와 사회경제 발전의 의미등이 어떤 것인지 돌아보게 한다. 이런 식으로 사회의 소수와 대다수의 만족이 이루어지는 것을 경제학에서는 파레토 최적이라는 용어를 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적의 생산점은 어디인가? (0) | 2023.02.03 |
---|---|
멜더스의 우울한 유령(?) : 노동과 자본 투입에 따른 생산량 (0) | 2023.02.02 |
주식이란?! 간단한 기초 정리를 해보자! (0) | 2023.01.31 |
가격 탄력성과 한국 제품, 미국인들은 왜 비싸도 일본 차를 샀을까? (0) | 2023.01.30 |
달러 ETF 종류와 수익률 비교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