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공부를 하면서 선물과 현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옛날에 배웠는데 어떻게 이렇게 다 잊어버렸을까?
오늘 다시 알아보면서 여기에 한번 정리를 해본다.
현물(spot)
이미 만들어진 상품을 보고 가치평가를 한 다음 상품을 사서 높은 가격에 파는 것이다. 낮은 가격에 사서 높은 가격에 팔아야만 돈을 벌수 있다. 대표적인 현물은 주식이 있다.
선물(futures)
선물은 앞으로 생산될 상품의 미래 상황을 예측하여 평가 후, 미래의 가격을 현재의 가격으로 거래하는 것이다. 미래에 어떤 날에 생산될 것이라고 믿고 거래하는 것이다. 현물 시장의 위험을 피하고자 만들어진 상품이다.
- 선물의 거래방법
선물시장은 현재 존재하는 상품이 아니므로 미래의 가치 예측에 따라 매수와 매도를 할 수 있다. 미래가치가 오른다고 생각하면 매수를 하고 반대로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매도를 하면 된다. 그래서 선물은 2가지 방법으로 이익을 낼 수 있다.
예) 달러의 경우
수출입 업체의 경우 달러 선물을 이용하면 달러 환차손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달러의 현재 환율이 1260원으로 물품대금을 받을 시기에 환율이 1240원으로 내린다면 환차손이 발생한다. 그래서 추후에 물품대금을 받을 때 환차손이 생기지만 미리 선물시가장에 1260원으로 달러를 팔았기 때문에 환차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현물의 환차손 방어를 했다고 본다.
이와 달리, 달러 선물을 투자로 생각하여 현재 환율이 1250원인데 매수하여 추후에 환율이 1260원으로 올랐다면 10원의 이득을 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1240원으로 내린다면 손실이 생긴다.
선물은 현물과 달리 인도기간이 정해져 있다. 1개월, 3개월, 1년 등의 단위로 거래하기 때문에 이 기간내에 팔거나 사야한다. 인도기간이 만료된 선물은 현물시장 가격이 된다. 선물시장이 현물 시장을 이끌기 때문에 선물의 가격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로 주식(현물)의 대표 거래지는 뉴욕이지만 선물은 시카고가 대표라고 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러 RP의 종류와 증권사별 수익 비교(NH, KB, 신한, 한국, 메리츠 등) (0) | 2023.01.26 |
---|---|
수요(Demand)와 공급(Supply)의 법칙 - 명품에 세금이 많이 붙는 이유 (0) | 2023.01.25 |
달러(Dollar)에 투자할 수 있는 5가지 방법 (0) | 2023.01.20 |
최고의 안전 자산, 달러(Dollar)에 투자해야 하는 이유 (0) | 2023.01.19 |
금 가격 결정 요인 및 금 투자 방법 (0) | 2023.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