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85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의 뜻을 알아보자 드디어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찾아보게 되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뜻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블록(Block) 블록은 어떤 한 장부와 같은 것이다. 돈이나 어떤 상품의 거래 내역이 적힌 장부. 이 장부는 한곳에 집중적으로 관리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똑같은 장부에 기록된다. 체인(Chain) 이 장부에 거래내역이 꽉 차서 다른 장부를 가져와서 거래내역을 적고 연결하는데 이 장부들을 연결하는 것이 체인이다. 이 장부와 체인을 합쳐서 블록체인(Block Chain)이라고 부른다. 비트코인(Bit coin) 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화폐가 비트코인이다. 비트고 인을 거래할 때 이 블록체인이 사용된다. 비트코인이 거래되면 하나의 블록(장부)이 아닌, 거래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가진 여러 블록에 거래내역이 .. 2023. 2. 21.
최대 금리 5% 이상의 적금을 알아보자 요새 금리가 올라서 고금리 예금이나 적금 상품이 나오는데 한번 알아보자! (2022년 3월 6일 기준) 최대금리 10% 상품 상품이름 금융사 기본 금리 가입 기간 월납입액 우대금리조건 최대 비고 하이정기적금 우리 종합금융 2.00% 12개월 10만원 이하 1. 신규고객 우대(4%) 2. CMA Note 고객 우대(최대 3%) 3. 마케팅 수신동의(1%) 10% 핫딜적금 +우리카드 케이뱅크 1.80% 12개월 20만원 이하 1. 신규고객우대(0.5%) 2. 적금가입후 20만원 이상 실저보유시 (4.2%) 또는 적금 가입후 만기 전까지 240만원 이상 실적 보유시(5.7%) 3. 자동이체 또는 대중교통 이용시(2.0%) ** 적금 가입 직전 6개월 이내 우리카드 이용 이력이 없는 고객 이용 가능 10% 우리.. 2023. 2. 20.
완전 경쟁 - 위험해도 앞서서 가야 하는 이유 시장은 기업수와 차별성에 따라 분류된다. 기업 수가 많고 상품의 차별성이 없을 때 : 완전 경쟁 시장 기업 수가 많고 상품의 차별성이 있을 때 : 독점적 경쟁 시장 기업 수가 소수이고 상품의 차별성이 없을 때 : 순수 과점 시장 기업 수가 소수이고 상품의 차별성이 있을 때 : 이질적 과점 시장 1번의 완전 경쟁시장은 있을 수 없는 시장이다. 기업들이 만드는 상품의 차이가 없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 또한 차이가 없다 하더라도 사람들은 대기업 제품은 뭔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완전경쟁시장은 있을 수 없다. 한국 소비 시장을 보면 소비자들의 대기업 선호도가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역시 실력을 쌓아도 남들이 인정을 해주어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완전경쟁 완전경쟁은 말 뿐인.. 2023. 2. 17.
외부효과 : 환경을 지키고 자녀 교육에 관심 있는 부모는 애국자? 이익을 가진 사람이나 단체가 그 대가인 비용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외부효과가 발생한다고 한다. 외부효과는 비용을 발생시키는 개인이 물어야하는 '사적 비용'과 이로 인해 사회가 물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이 있다. 공해, 환경 오염은 사적 비용보다 사회적 비용이 크다(외부비경제) 예를 들어서, 어떤 한 공장에서 공해를 일으킬 때 그 공장이 무는 비용 보다 사회 전체가 물어야 하는 비용이 클 경우 외부비경제라고 한다. 외부비경제일 경우 이 공해를 일으키는 기업에 그만큼 세금을 물려서 피해자에게 나누어 주어야 한다.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원자력 발전소나 폐기물 처리장을 유치하는 지역에는 그에 상응하는 이익을 주는 것은 경제학적으로 당연한 일이다. 만약 피해자를 님비나 집단 이기주의라고 매도하는.. 2023. 2. 15.
반응형